[AWS] 2가지 사용법 : 웹 인터페이스와 CLI


STUDY NOTE
개발을 하며 배우고 익힌 기술 / 개념을 남겨놓는 공간입니다.
잘못된 지식이나,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AWS Management Console
간단하고 직관적인 웹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Amazon Web Services에 액세스하고 이를 관리한다.
AWS Console 모바일 앱을 사용하여 이동 중에도 신속하게 리소스를 확인할 수 있다.
기능
- AWS 계정 관리
: 서비스별 월간 비용 모니터링, 보안 자격 증명 관리, 신규 IAM 사용자 설정까지 AWS 계정과 관련된 모든 일을 클라우드에서 관리 할 수 있다.
- AWS 콘솔에서 서비스 검색
: 필요한 서비스를 찾고 탐색하는 방법이 있다.
Console Home에서 검색 기능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선택하거나 All Services 섹션을 확장하여 모든 서비스 목록을 살펴볼 수 있다.
- AWS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 서비스 바로 가기 고정
- Resource Groups
- Tag Editor
-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AWS 리소스 관리
요구사항
- 기존 AWS 계정 필요
- AWS IAM을 사용하여 로그인하는 경우 관리자의 이메일 주소에 포함된 계정 별칭을 사용해야 합니다.
CLI (AWS 명령줄 인터페이스)
AWS 명령줄 인터페이스(CLI)는 AWS 서비스를 관리하는 통합 도구입니다. 도구 하나만 다운로드하여 구성하면 여러 AWS서비스를 명령줄에서 제어하고 스크립트를 통해 자동화 할 수 있습니다.
AWS CLI 는 Amazon S3에서 효율적으로 파일을 보내고 받을 수 있는 간단한 새 파일 명령 세트를 제공합니다.
AWS-Shell(개발자 평가판)
aws-shell은 명령줄 셸 프로그램으로서, AWS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새로운 사용자와 고급 사용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편의 기능 및 생산성 기능을 제공합니다.
기능
- 명령 ( ec2, describe-instances, sqs, create-queue )
- 옵션 ( --instance-ids, --queue-url )
- 리소스 식별자 ( Amazon EC2 인스턴스 ID, Amazon SQS 대기열 URL, Amazon SNS 주제 이름)
- 동적 인라인 설명 : 입력을 하면 명령 및 옵션에 대한 설명이 표시됩니다.
- OS 셸 명령 실행 : 셸을 벗어나지 않고 cat, ls, cp 같은 일반적인 OS 명령을 사용하고 입력과 출력을 연결
- 실행된 명령을 텍스트 편집기로 내보내기
여러분의 댓글과 공감은 직장 노예의 엔도르핀이 됩니다 :)

Instagram @ turtle__ju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100005591914690

댓글

가장 많이 본 글